-
PC를 최적화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 이벤트 로그를 잡아라!Full-Stack/Back-end 2008. 1. 23. 11:39PC를 최적화하기 위한 각종 팁들이 무수히 많다. 하지만 사람마다 어울리는 옷이 있는 것처럼 PC마다 다른 특성을 갖기 때문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동일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도 남들과 똑같은 성능을 보이지 않는 것 또한 그런 맥락이라 하겠다.
소위 말하는 궁합이 맞는 시스템을 갖춰놓았다 하더라도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나 각 장치의 드라이버에 따라서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시스템에서 오류 메세지를 뿌려주기 전까지는 자신의 시스템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일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윈도우즈 2000이나 XP 사용자의 경우 별다른 모니터링툴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시스템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있다. NT 4.0부터 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해 제공되었던 "이벤트 뷰어"가 바로 그것이다.
이벤트 뷰어는 간단히 말해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벤트를 기록해둔 로그파일을 볼 수 있는 뷰어이다. 이벤트 로그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간에 발생하는 문제와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의 동작상태가 기록된다. 따라서 이벤트 로그를 살펴보면 자신의 시스템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다.
<!-- badtag filtered --> <!-- badtag filtered --> ►제어판 > 관리 도구 > 이벤트 뷰어를 실행시킨다.
혹은 "컴퓨터 관리"를 실행시켜서 이벤트 뷰어 항목을 살펴봐도 되고 시작 > 실행 > "eventvwr.msc" 명령어로 직접 실행시킬 수도 있다.<!-- badtag filtered --> <!-- badtag filtered --> ►수많은 이벤트 로그가 기록되어 있다.
이벤트 뷰어는 "응용 프로그램", "보안", " 시스템" 항목으로 나뉘어져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각 응용 프로그램간에 발생하는 오류나 경고 이벤트가 기록된다. 알지 못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특정 서비스를 접근하려고 계속적으로 시도한다면 그만큼 다른 장치간의 명령어 전달이 지연되고 시스템의 리소스가 낭비될 것이다. 이벤트 로그도 계속적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약간의 메모리라도 낭비되는 것이다.오류를 계속적으로 발생시키는 항목이 있다면 해당 항목을 더블 클릭하여 이벤트 등록 정보를 볼 수 있다. 웜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를 조금이라도 늦춰보겠다고 M$에서 윈도우즈 XP ServicePack 2부터 TCP/IP 연결 횟수를 제한하여 P2P 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한 4226 이벤트를 살펴보자.<!-- badtag filtered --> <!-- badtag filtered --> ►TCP/IP 동시 접속 횟수를 제한하면 당나귀와 같은 다중 접속 환경의 P2P 프로그램에서는 속도 저하 현상이 있다.
이벤트 등록 정보를 살펴보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도의 내용으로 오류 내용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 설명이 나와 있다고 해도 가장 기본적인 내용뿐이다. 그럼 보다 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우선 "원본"과 "종류", "이벤트 ID" 만 기록해 두자.그 첫 번째 방법은 M$ 기술 지원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하지만 4226 이벤트처럼 M$에서 고의적으로(?) 제한한 경우에는 제대로 된 해결방법이 게시되길 기대할 수 없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eventid.net 은 사설 사이트로 회원들이 직접 올리는 관련팁중에서 확인된 내용만을 게시하는 곳으로 문제 해결의 정확도가 상당히 높다. 또한 한가지 이벤트에 대해 여러 가지 관련팁이 게시되어 다양한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며 관련 내용들도 링크되어 있어 참고 자료를 찾는데도 유용하다.<!-- badtag filtered --> <!-- badtag filtered --> ►메인 페이지의 검색창에서 기록해둔 "이벤트 ID"로 검색한다.
"이벤트 ID" 로 검색하였을 때 다양한 항목들이 검색될 수 있다. 하나의 "이벤트 ID" 에 "원본"과 "종류"가 다른 여러 가지 항목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럴 때는 미리 기록해둔 "원본"과 "종류"를 확인해서 해당 내용을 찾아야 한다.<!-- badtag filtered -->
<!-- badtag filtered -->►다양한 해결 방법과 관련 링크가 친절하게 안내되어 있다. 윈도우즈 XP Service Pack 2를 설치한 사용자라면 이번 시간에 TCP/IP 동시 접속 제한을 풀어보도록 하자.
이상의 방법으로 이벤트 로그의 "경고"와 "오류" 항목만 제어하더라도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벤트 로그를 살펴보면 생각지도 못한 시스템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스템 최적화 작업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과정이다.
댓글